Discription
?
동아시아 국제질서 속의 한중관계사
제언과 모색
Probing for the History of Sino-Korean Relations
in the Context of the East Asian World Order
?
한국과 중국은 역사적으로 매우 밀접한 관계를 맺어왔고, 현재의 두 나라 관
계는 날이 갈수록 긴밀해지고 있다. 그렇지만 우리 학계의 한중관계사 연구
는 부진한 편이다. 한중관계사를 다룬 종래의 연구와 달리, 이 책은 각 시대
별 한중관계의 양상을 어떻게 정리할 것인가의 문제 제기로부터 출발하였다.
역사상 한중관계를 설명하는데 중요한 이론틀이었던 책봉조공체제가 과연
각 시대상을 유효하게 설명하고 있는가의 문제를 살펴 보았다. 또한 일국사의
관점에서 벗어나 동아시아 세계 속의 한중관계사를 살폈다는 데에 의미가 있
다.‘동아시아’의 범위가 시대별로 신축적이었고, 그러한 시대적 상황과 유기
적으로 조응하였던 국제질서의 다양성을 파악하는데 도움을 주고 있다. 또한
시대별 양상에 차이가 있지만‘한중관계사’라는 긴 흐름이 가능할 수 있었던
원인을 찾고자 한 것도 눈길을 끈다.
?
차례
책머리에
3세기 이전 동아시아 국제질서와 한중관계 | 김병준 -조공·책봉의 보편적 성격을 중심으로 Ⅰ. 머리말 Ⅱ. 기존 연구에 대한 비판적 검토 1. 조공의 기원 : 선진시기 조공 용례 검토 2. 조공·책봉의 '제도화' : 한대 조공 용례 검토 Ⅲ. 3세기 이전 조공·책봉의 성격 1. 조공·책봉의 비정형성 2. 조공·책봉의 다목적성 3. 조공·책봉의 시공간적 보편성 4. 조공·책봉의 상호성 Ⅳ. 동아시아 국제질서의 중층적 구조 Ⅴ. 동아시아세계 속의 '한중관계' - 맺음말을 대신하여
6~8세기의 동아시아와 한중관계 | 김창석 Ⅰ. 머리말 Ⅱ. 고대 '동아시아'의 개념과 범위 1. 책봉체제론의 성과와 한계 2. '동아시아'의 범위 Ⅲ. 6~8세기 한중관계의 명분과 실제 1. 기왕의 논의의 문제점 2. 6~8세기 책봉질서의 구조와 변화 Ⅳ. 맺음말
10~12세기 동아시아의 다원적 국제질서와 한중관계 | 윤영인 Ⅰ. 머리말 Ⅱ. 10~12세기 다원적 국제질서 Ⅲ. 10~12세기 '한중(고려와 거란·금)'관계의 특징 Ⅳ. 10~12세기 '동아시아' 국제관계 범위 설정 Ⅴ. 맺음말
세계질서와 고려-몽골관계 | 이익주 Ⅰ. 머리말 Ⅱ. 13~14세기의 세계질서와 고려인의 '천하' 인식 1. 13~14세기 몽골제국 중심의 세계질서 2. 13~14세기 고려인의 '천하' 인식 Ⅲ. 13~14세기 고려-몽골관계의 양상 1. 책봉·조공관계의 요소 2. 책봉·조공관계 이외의 요소 Ⅳ. 맺음말
15~17세기 동아시아 속의 조선 | 계승범 Ⅰ. 머리말 Ⅱ. 전근대 동아시아와 조선 1. '중국적 질서'와 그 비판자들 : 구미 학계의 논쟁 2. '동아시아세계론'의 양면성 : 일본 학계의 담론 3. 조공과 책봉 : 국내 학계의 시각 Ⅲ. 조명관계와 동아시아 1. '동아시아' 권역 : 조선의 국제 반경 2. 조명관계 관련 용어의 의미 분석 3. 명질서의 성쇠와 조선의 역할 Ⅳ. 맺음말
동아시아 국제질서의 변동과 조선-청 관계 | 구범진 Ⅰ. 머리말 Ⅱ. '책봉·조공 패러다임'에 대한 비판적 검토 1. '책봉·조공 패러다임' 2. '책봉·조공 패러다임'과 역사적 현실의 괴리 3. 명·청의 '불연속성'과 '중국' Ⅲ. 청제국과 다중체제의 형성 1. 시야의 확대 : '동아시아'에서 '동유라시아'로 2. 국제질서의 재편과 다중체제의 형성 Ⅳ. 다중체제 속에서 조선의 위상 Ⅴ. 19세기 후반 국제질서의 변화와 조선-청 관계 Ⅵ. 맺음말
20세기 동아시아 국제질서와 한중관계 | 배경한 -'20세기 한중관계사'의 새로운 시각과 서술방안 모색 Ⅰ. 머리말 Ⅱ. 연구시각의 검토와 모색 1. 기존의 연구시각에 대한 비판적 검토 2. 새로운 연구시각의 모색 Ⅲ. 20세기 동아시아 국제질서 1. 제국주의 식민지 지배체제하의 동아시아 국제질서 2. 중일전쟁, 태평양전쟁 시기의 동아시아 국제질서 3. 냉전체제하의 동아시아 국제질서 4. 탈냉전 시대(1980년대 이후) 동아시아 국제질서 Ⅳ. 20세기 한중관계 1. 제국주의 식민지 지배체제하의 한중관계 2. 중일전쟁, 태평양전쟁 시기의 한중관계 3. 냉전체제와 한중관계 4. 탈냉전 시대의 한중관계 Ⅴ. 맺음말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