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iscription
동북아 활쏘기 신화와 중화주의 신화론 비판
A Study of Arrow-Shooting Myths in the Northeast Asia and a Critical Examination of the
Sino-centric Interpretation of Myths in Modern China
2008년부터 기획한“동북아 상고사 연구”과제의 연구성과물 한 데 엮은 것
이다. 이 연구는 중국 내 소수민족이나 주변 민족 신화를 중화민족 신화로 수
렴하고자 하는 이른바‘중화주의 신화론’의 문제점을 파헤치고 이에 대한 대
안을 제시하고자 한데서 출발하였다. 이를 위해 활쏘기 신화를 주제로 동
북아 지역 공동의 문화현상을 탐색하고 이와 관련된 중화주의 신화론을 한
국·시베리아·몽골의 활쏘기 신화와 비교 고찰하였다. 이 과정에서 그동안
알려지지 않았던 동북아 각 지역의 활쏘기 신화 자료를 폭넓게 소개하고, 활
쏘기 신화에 등장하는 주인공의 성격 규정의 문제를 제기한 것이 특징이다.
독자들은 동일한 신화의 소재가 분포하는 지역과 문화의 보편성 그리고 이질
성을 살펴, 동질의 문화권을 설정하고, 같은 권역 내에서도 시대와 이념 변화
에 따라 해석이 달라질 수 있을 확인할 수 있을 것이다.
차례
? 한국 활쏘기 신화의 신화적 의미와 특징 / 이용범 Ⅰ. 머리말 Ⅱ. 한국의 활쏘기 신화 1_창세신화 2_건국신화 3_마을당 기원신화 Ⅲ. 한국 활쏘기 신화의 신화적 의미 1_활쏘기 신화의 주인공 2_활쏘기의 신화적 기능 Ⅳ. 맺음말: 한국 활쏘기 신화의 특징
? 중국 소수민족 활쏘기 신화와 의례를 통해서 본 ‘샤먼영웅’ / 김선자 ―중국 동북지역을 중심으로 Ⅰ. 머리말 Ⅱ. 활쏘기 신화의 유형 분류 1_활이 신적인 능력의 상징이 되는 경우 2_활을 쏘아 빛을 되찾은 경우 3_해와 달을 쏘아 인간을 재앙에서 구한 경우 Ⅲ. 활쏘기 의례-버들 쏘기 1_거란족의 경우 2_여진족의 경우 3_만주족의 경우 Ⅳ. 활쏘기 신화의 상징성 분석 1_샤먼영웅, 신적인 능력을 보이다 2_사악한 것을 물리치고 인간을 치유하는 힘 3_활쏘기 신화는 샤먼의 의례에 기초한다 4_활쏘기 신화는 중원에서 동북지역으로 온 것이 아니다 Ⅴ. 맺음말 ?부록: 중국 소수민족 활쏘기 신화
? “에르히 메르겐” 신화의 문화적 함의 / 이평래 Ⅰ. 머리말 Ⅱ. 궁시의 문화적 함의 Ⅲ. 엄지와 단지(斷指) 서약의 문화적 함의 Ⅳ. 타르바가로의 변신의 문화적 함의 Ⅴ. 맺음말 ?부록: 에르히 메르겐 신화 자료
? 시베리아 신화와 의례에 나타난 활?화살의 의미에 대한 연구 / 곽진석 Ⅰ. 머리말 Ⅱ. 시베리아 활쏘기 신화의 유형과 주인공 1_창세신화에서 주술적 도구?행위로서의 활?활쏘기 2_토템신화에서 주술적 도구?행위로서의 활?활쏘기 3_샤먼신화에서 의례적 도구?행위로서의 활?활쏘기 Ⅲ. 시베리아 의례와 활?화살 Ⅳ. 활?화살에 대한 관념의 변화와 시베리아 샤머니즘 Ⅴ. 맺음말
? 누가 왜 예를 말하는가 / 이유진 ―동이의 예에 관한 중화주의 신화론 비판 Ⅰ. 머리말 Ⅱ. 신화와 역사 사이에서 Ⅲ. 신화의 역사화 1_굴원은 왜 상반된 형상의 예를 말했나? 2_사마천(司馬遷)은 왜 예에 대해 언급하지 않았나? Ⅳ. 누가 왜 예를 말하는가? 1_의고(疑古)와 신고(信古), 그리고 중국의 역사 2_중국성의 재인식 3_동이의 예에 관한 동상이몽(同床異夢) Ⅴ. 맺음말 ― 동이의 예가 중화민족의 예인가? |